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료 보험 리모델링? 이제 그만 하십시오. 보험정리 셀프로 가능!!(1)

728x90
반응형

먼저 이 글을 읽으실 보험설계사 분들 쉽게 흥분하지 마십시오

요즘같이 보험설계수 수수료가 적어지는 시대에 꿀팁을 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고 대안을 꼭 찾으시기 바랍니다.

 

 

시작은 운전자 보험을 자세히 파다가 알게된 사실이지만

오늘은 보험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보험으로 많이 당해왔습니다.

이모한테도 삼촌한테도 심지어는 어머니한테도 보험은 당하기 마련입니다.

 

근데 정확히 말하면 당한게 아니라 다른 견해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자식간에도 견해가 다르듯

보험이란게 정말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입니다.

그래서 코걸이를 하고 만나면 귀걸이로 바꾸라고 하고

귀걸이를 하고 만나면 코걸이로 바꾸라고 한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무료로 컨설팅을 받고 보험료도 줄였다고 신나서 팔짝 팔짝 뛰었습니다.

아마 이런 형태 였을 것입니다.

전에는 20만원 냈던 보험을

15만원으로 줄이고 보장도 더 늘었답니다.

의심 안되시나요? 인플레이션도 있고 의료비도 늘었는데, 어떻게 보험료를 줄이고 보장도 그대로 가져가죠?

 

우선 이 개념부터 정리하셔야 합니다.

보험료를 내염 일부는 '굴리는 돈' 일부는 '소비되는 돈'입니다.

굴리는 돈은 굴려서 환급을 해주는 돈이고

소비되는 돈은 결국 사업비로 빠지는 것입니다

 

실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종신보험(사망하면 1억나오는)을 매달 20만원씩 냅니다.

근데 이 보험을 7만원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평생 보장되는 보장기간을 80세 만기로 줄이면 말입니다.

이런 구조가 되겠죠?

종신 보험은 굴리는돈 13만원과 소비되는 돈 7만원의 구조입니다.

여기서 13만원의 굴리는 돈을 빼면 7만원으로 보험료를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7만원짜리 정기보험이 더 좋아 보이시나요?

만약 돈의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면 20만원짜리가 훨씬 좋습니다.

왜냐면 결국엔 원금은 다 받을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건물주 들이 월납 수백 수천만원짜리 종신보험을 드는겁니다.

상속세 재원마련을 위해서도 그렇구요.

그래도 납득이 안간다고요? 그럼 이렇게 물어보겠습니다.

 

전세? 월세? 어떤게 더 좋나요?

 

전세금 낼 수만 있다면 무조건 전세겠죠

이자는 못받겠지만 이사갈때 원금을 돌려 받으니까요

하지만 목돈이 없어서 월세로 들어가면 월세는 고스란히 없어지는 돈입니다.

위에 종신과 정기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

20만 낼 여유만 있다면 유지하면 결국엔 원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인데

지금 당장 못낼꺼 같아 7만원으로 줄이면 7만원은 고스란히 없어지는 돈입니다.

7만원 내고 나머지 13만원을 잘 투자하시는게 최고이긴 하겠습니다

 

벌써 머리가 아프다 고마해라

 

보험은 너무 어렵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음편에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