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VS 주식
저는 성향상 부동산입니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에는 주식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에 이런 기사가 났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경제성장률을 4%를 잡았다는 것은 상당한 일입니다.
물론 기저효과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국제 기준에서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것이 한국인것은 사실입니다.
백신이 변수이기는 하지만
올림픽을 준비하는 일본에 비해 상당히 우위권인 것만 하더라도
잘 진행되고 있고 11월에 집단 면역이 가능할 것이라는 초기의 목표와 달리
빨르면 8~9월에 집단면역 가능도 예측하고 있습니다.
더우기 KDI(한국개발연구원)는 상당히 보수적인 집단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개발연구원(KDI) : 한국경제발전 초석마련을 위한 think tank(출처 : 네이버)
3.8%라는 경제 성장률을 전망한 것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경제 성장률 예측은 맞춘적도 없지만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상만을 따져보기엔 좋은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외국인 투자자들도 본인들이 본인을 어떻게 투자하고 그 근거를 무엇으로 대고 있는지
상당히 중요합니다.
KDI 홈페이지에 보면 이런 보고서가 있습니다.
다 분석할 능력도 안되지만
제 블로그 컨셉도 맞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 한가지만 보겠습니다.
(잘 이해안가도 계속 보다보면 대충 무슨말인지는 이해 되니 읽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선행지수만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선행지수는 주식하시는 분들이면 기본적으로 아실겁니다.
저도 부동산에 투자를 하면서 주식의 선행지수를 많이 봅니다.
말 그대로 먼저 가는 지수기 때문에 전혀 버릴 수만은 없습니다.
선행지수 그래프를 보면 동행지수 그래프를 월등히 상향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봐도 무방치 않으며
부동산 규제로인한 자금들이 주식으로 쏠릴 호재도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변수이지만
금리는 동 찍어 낼때 부터 예정된 수순이기 때문에
이미 심리는 반영되었을 것이고
코로나로 인해 금리를 많이 올리지는 못할 것입니다.
하반기에는 한국 주식시장에 집중하세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값이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0) | 2021.05.23 |
---|---|
테슬라가 코인 말고 파는 것 - 전기차(X) 탄소배출권(ㅇ) (1) | 2021.05.18 |
펀드에 대한 공부는 여기만 봐도 충분합니다 (0) | 2021.05.13 |
연금에 속고 있었다. 펀드보다 변액이 수익이 좋다고? (0) | 2021.05.12 |
금융사들의 막대한 광고!! 누구의 돈일까? (2) | 2021.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