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사야할까? 말아야 할까?
지금은 확실한 부동산 하락시기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민을 합니다. 집을 사야할까 말아야 할까?
집을 사더라도 대출을 받아서 사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고민이 야기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출을 받아서라도 집을 사야 할까요?
아니면 어차피 집값이 떨어지니 좀 더 기다렸다 사야할까요?
오늘은 두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마지노선은 있어야 한다.
마지노선은 프랑스의 육군장관을 지낸 앙드레 마지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방어선입니다.
1차 세계대전에서 프랑스의 전력 효율화를 위해서 만든 군사 방어선입니다.
이처럼 재정적인 부분에도 마지노선을 만들어야 합니다.
특히 주택에 관해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옷이나 음식은 며칠 굶을 수 있지만, 집은 하루라도 없으면 많은 짐은 이삿집센터에 보관해야 하며,
가족들을 뿔뿔히 흩어져야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월세든 전세든 어떠한 상황에서도 거쳐는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살 집은 있어야 합니다.
집값떨어지길 기다리다가 전세값오르거나 이사비용만 감안해도 집이 없으면 손해가 큽니다.
변동성에 주목하라
이 블로그에서는 전문적인 부분을 쉽게 풀어쓸려고 하는데, 지금은 조금 깊게 들어가 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집에 대한 변동성도 컸지만, 금리에 대한 변동성도 상당했습니다.
변동성이라는 것은 투자성과도 비례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즉, 주식은 투자성도 크기 때문에 변동성도 크고 리스크에 대한 부담도 커집니다.
과거에는 집을 굳이 사지 않아도 금리에 투자했으면 되기 때문에 집을 안사고 기다리는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저금리에 변동성이 많이 작아져서 집에 대한 변동성, 즉 위험을 몸으로 막고 싶지 않으시다면
집에 대한 안정성은 확보하셔야 합니다.
오늘도 아침 일찍 일정이 있어. 부족한 설명이지만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강의 및 상담문의 010-9999-9213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주택?임대주택? 과연 이 안에 답이 있을까? (0) | 2016.03.30 |
---|---|
월세 대신 내집마련, 은행대신 임대소득 (1) | 2016.03.16 |
아반떼 가격으로 BMW 탈 수 있는 방법 (0) | 2016.02.26 |
입찰하기전 헛수고 방지 위원회^^ (0) | 2016.02.23 |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 (0) | 2016.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