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커피값으로 10억 만들기 가능할까? 엑셀로 계산해 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동화입니다.

오늘은 신혼부부가 돈이 안 모이는 이유로 글을 쓰다 보니

물가 상승률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공감이 쉽지 않겠다고 생각이 되어서

이 글을 먼저 정리해 봅니다.

물가와 내 투자 수익과의 관계를 전혀 모르시는 분들이 태반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는 복리의 개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수학 시간에 문제를 풀기 위한 것이었지

내 일상과 접목해 본 적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 복리의 무서움이 내 일상 깊숙이 숨어 있었습니다.

우선 복리와 단리의 차이를 거두절미하고 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단리와 복리 차이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10회 차가 되면 2배 차이가 나게 되고

20회 차가 되면 약 3배가 정도가 나게 됩니다.

친구랑 같은 투자를 했는데, 내가 3억짜리 아파트 샀는데 친구는 10억짜리 아파트 사는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 한번 보여드렸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로 보시면 더 체감이 됩니다.

 

단리와 복리 그래프

 

 

그럼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은

우리의 투자는 대부분 단리이고 물가 상승률은 복리라는 점입니다.

 

제가 강의에서 많이 써먹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커피값으로 10억 만들기입니다.

아래를 보시면 10억 만들기의 흐름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커피값으로 10억 만들기

 

제가 예전에 쓰던 PPT인데, 이런 계산은 변수, 기시에 투자하느냐? 기말에 투자하느냐의 사소한 숫자만 바뀌어도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엑셀로 다시 한번 계산해 봤습니다.

youtu.be/kWgReCWIFow

(유튜브 영상으로 보시면 계산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PPT자료처럼 월 75,000원씩 투자하니 64세가 되면 10억이 모이긴 합니다.

아마 이 때는 금융계산기로 계산했던 터라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수익률이 5%로 줄어들면

 

 

수익이 1억 4천여 만원 밖에 되질 않습니다.

만약 11% 수익에 기간을 30연으로 줄이면

 

 

2억여 원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월 7만 5000원 투자하려고 이런 고생을 하는 게 아니니

현실적으로 매달 50만 원씩 30년 5% 수익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그렇게 하니 약 4억 1천6백여만 원이 됩니다.

앞선 그래프에서 보듯이 100% 복리인 물가는 우리가 투자하는 단리의 자금보다

훨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결론적으로는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고 복리의 자산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여기서 다음 편 예고를 해보자면 요즘 젊은 세대들이 이런 혜택과 멀어져서

돈을 모으기 힘든 이유는 부채비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부채가 많다고 하면 이자 얼마 안 되니까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자 걱정이 아닙니다.

돈이 모아져야 할 돈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즉 5억 아파트에 사는 신혼부부라면 3억 아파트로 줄이고 2억은 복리고 굴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쉽지 않은 자산관리가 됩니다.

자세한 것은 다음 편에 더 이야기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내가 복리의 물가에 노출되고 있고 그로 인해서

지금 가만히 있는 것은 어마어마한 미래의 자산 즉 FV를 놓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