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다가구와 다세대의 차이를 모르면 당장 익혀두세요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동화입니다.

오늘은 기초적인 내용을 한번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과일의 종류를 모르는데, 과일을 사러 간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특히 맛을 모르고, 가격을 모르는데 무조건 주어 담다가는

큰 피해를 맛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도 기초적인 구분을 할 줄 알아야 투자가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부동산의 종류, 특히 주택의 구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산의 형태를 구분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오늘은 주택법에 입각하여 주택을 구분해 보고

반드시 숙지해야할 기본적인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주택건물은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아파트가 있습니다.

흔히들 빌라라고도 많이 이야기 하는데, 빌라는 건축법이나 주택법상 용어는 아닙니다.

건축법에는 공관이나 기숙사의 정의도 있지만

오늘은 주택법상의 기준인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을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정의 내려드리는 것은 참고만 하시면 되고

이중에 핵심적으로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을 뒤에서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세대 다가구에 대해서 우선 아래 그림을 보십시요. 간단하게 정리해 놨습니다.

다가구와 다세대주택

 

https://youtu.be/SutYVpyE_lk

다중주택을 기준으로 삼겠습니다. 330㎡ 이하이면서 3층 이하인 것이 다중주택입니다.

다중주택과 층수 기준은 같은데 660㎡이하로 크기가 커지면 다가구가 됩니다.

다가구에서 면적의 기준은 같은데 층수의 제한이 4층으로 늘어나면 다세대가 됩니다.

다세대에서 면적 기준이 660㎡ 초과로 늘어나면 연립주택이 됩니다.

그리고 5층 이상은 전부 아파트가 되는 것입니다.

다소 복잡하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제가 외우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 드리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다가구와 다세대 쉬운 정리

 

다중 주택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층수와 면적을 업그레이드하면 상위 주택이 되는 것입니다.

참 쉽죠?

추가적으로 필로티 구조를 아시나요? 요즘에 1층을 주차장으로 만들고 기둥만 세워져 있는 형태를

필로티 구조라고 합니다.

건축법상 주자장으로 사용되는 필로티 구조는 층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가구는 19세대 이하를 말합니다.

그리고 5층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에 속하지 않는것은 도시형 생활주택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간단한 정리는 여기서 끝났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의보다 더 중요하게 알고 계셔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시겠습니다.

 

다가구와 다세대 차이

 

비슷해 보이지만 다가구와 다세대는 반드시 구분할 줄 아셔야 합니다.

다가구와 다세대는 아예 다른 주택이기 때문입니다.

다가구는 단독주택에 속하고 다세대는 공동주택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소유자의 입자에서도 임차인의 임장에서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우선 임차인의 입장에서는 다가구에 전입신고를 하고 대항력을 갖출때, 

주소를 쓰고 정확한 호수를 기재하지 않아도 단독주택이기 때문에 대항력이 인정이 됩니다.

하지만 다세대의 경우 건물은 하나이지만 공동주택으로 각 호마다 주인이 다른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동 호수를 기재하지 않으면 대항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다세대 주택같은 경우에 마감 작업하는 분들의 임의대로 동 호수가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경우 건축물 대장과 실제 동호 수가 맞지 않는 경우 난감한 상황이 연출되게 됩니다.

최악의 경우 대항력이 인정되지 않아 내 보증금을 날리게 될 수도 있습니다.

소유주 입장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가구를 소유하게 되면 1가구 1주택으로 인정이 되기 때문에 세법상 유리한 지점이 많지만

다세대 주택을 통으로 가지고 있으면 다주택자가 되기 때문에 각종 중과세애 시달리게 될 것입니다.

같은 형태의 세대수에서 월세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다가구냐? 다세대냐의 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기초입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부동산 공부를 하지 않으신 분들은

개념이 잘 잡히지 않으신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세밀하게 공부하시면 더욱 좋고, 그렇지 못하다면 다가구와 다세대만 구분하신다면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상당히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다음에 더 좋은 모습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