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과연 필요할까?
요즘 인터넷을 보면 정보가 차고 넘칩니다.
특히 금융에 관한 내용은 더욱 그런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ISA계좌에 관심이 많은것 같습니다.
이례적으로 금융위웡회에서 적극적 홍보를 하고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금융개혁이라는 슬로건하에서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ISA계좌가 얼마나 내 자산형성에 도움이 될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워렌버핏의 투자원칙을 하시나요?
1. 절대 손실을 보지말아라
2. 1번 원칙을 반드시 지켜라
다들 잘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손실을 보지 않는 것이 최고의 투자입니다.
많이 손실을 감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만큼 손실을 피하는 것만 못하는게 정확한 분석입니다.
자칫 소극적인 투자가 될 수도 있지만, 한번의 실수로 많은 수익을 잃을 수 있는게 투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상품이나 금융변화가 있을때, 꼼꼼히 검토해 보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조금 과하게 이 상품의 문제점을 다 찾아보겠다는 자세로 정보를 습득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얼마전 재형저축이 신규로 판매되었었습니다. 과거의 재형저축에 대한 향수가 있으신 많은 분들이
무비판적으로 가입했다가 지금 자금의 유동성이 묶여서 곤란해진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예전만큼 혜택이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ISA계좌도 지금으로 봐서는 큰 메리트가 없습니다.
좋다는 광고만 무성하기 때문에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다소 비판적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왜 ISA계좌를 만들었을까?
금융사는 기업입니다. 여타의 TV광고처럼 개인이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말은 포장이라고 보시면 틀리지 않습니다.
저도 금융사 녹을 먹고 사는 입장에서 너무 부정적이 아니냐 생각하시겠지만,
솔직한 얘기입니다.
그렇다고 금융사가 없어져야 한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어린아이가 걸음마를 배울때 보행기가 필요합니다. 대소변을 가리기 전까지는 기저귀도 필요합니다. 최고의 축구선수가 되기 위해선
운동 보조기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걷게되면서 보행기는 필요없습니다. 대소변을 가리면 기저귀만큼 쓸데없는 것이 없겠죠. 축구시합때는 연습때 사용하던 보조기구는 절대 구장안으로 들여 놓을 수 없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조기관으로 금융사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전지전능의 자산관리사로 금융사는 경계의 대상이고 관리의 대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융사를 잘 활용하시면서 관리하셔야합니다.
ISA계좌를 왜 만들었을까를 고민해보면 관리의 방향이 나옵니다.
사견이 될 수도 있겠지만, 금융사의 우두머리는 은행입니다. 하지만 많은 자금들이 은행을 빠져서 보험사나 증권사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저금리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계좌를 합법적으로 열어주는 것입니다.
앞에 내 세운 비과세는 간지러울 정도로 미비함이 그 첫번째 이유입니다.
그리고 5년이라는 의무기간이 있습니다.
중도인출도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ISA계좌에 들어온 돈은 금융사 입장에서 안정적으로 굴릴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그러나 계좌를 사용하는 사람은 5년 동안 그 돈을 쓸 일이 없을까요?
그리고 납입자격은 반드시 소득이 있는 사람이여야 합니다.
절세혜택을 돌려주기 위한 상품은 아닌듯합니다. 비과세 혜택제한이 왜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보다 앞서서 시작한 영국이나 일본은 비과세 제한이 없습니다. 물론 가입금액 제한은 있습니다.
단점이라기 보다는 주의하셔야 할 점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봤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수료부분을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
투자형 상품은 일종의 사업비가 필요합니다.
펀드에서 손실이나도 일정한 수수료를 공제하는 것 처럼, 은행에서 하니 절대 원금 손실은 없으리라는 착각이 들 수도 있으나
판매만 은행에서 했지만, 투자형 상품 즉 일임형 상품으로 가입하시게 되면 펀드와 마찬가지로 수수료를 공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자보다 비과세 혜택보다 수수료가 더 많아 질 수도 있는 구조 입니다.
아직 출시가 되지 않아 회사마다 수수료를 알 수는 없으나, 반드시 고려하셔야 할 부분입니다.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은행도 팔 수 있는 투자형 상품을 만들었는데, 조금의 비과세 혜택과 손실에 대한 합산과세하는 상품입니다.
남들이 한다고 묻지마 투자하시 마시고 자신에게 맞는지 꼼꼼히 따져보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강의 및 상담문의 010-9999-9213
'내부자 - 내가 만난 부자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껴쓰는 것만으론 절대 부자가 될 수 없다 (0) | 2016.02.22 |
---|---|
은행 없어지면, 여름에 더우면 어디서 피해있어야 하나? (0) | 2016.02.20 |
동상이몽, 부모의 근성이 2대를 가지 못하는 이유 (0) | 2016.02.16 |
칼을 뽑아야 돈이 모인다 (0) | 2016.02.13 |
가계부, 과연 내 자산을 위해 도움이 될까? (0) | 2016.02.12 |
댓글